나이가 들면서 무릎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무릎에 물이 찼다고 하면 어떤 질병이 있는 걸까요?
<윤활막염(활액막염)이란?>
넙다리뼈와 정강뼈가 이어지는 부분에는 윤활막이 있습니다.
윤활막은 윤활 관절의 관절 주머니를 형성하는 안쪽의 막으로서 관절의 윤활작용과 영양공급을 위해 투명하고 다소 점성이 있는 윤활액을 분비합니다.
윤활막염은 외상이나 염증으로 인하여 윤활막이 자극받아 혈구와 단백질 섬유를 함유하는 점액을 생성함으로 종창(swelling)과 관절운동 제한을 유발합니다.
윤활액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소위 말하는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윤활막염의 원인>
급성염증, 외상, 좌상, 류머티즘 관절염, 통풍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합니다.
<윤활막염의 증상>
*급성
관절 주위에 열이나고 피부가 붉어진다.
종창(부어오름)이 심하다.
운동을 하거나 움직이면 통증이 증가한다.
관절 주위 인대가 이완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근육의 위축이 진행된다.
*만성
윤활막이 비대해지고 매끄럽지 못하다.
삼출액과 종창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인대가 느슨해지고 근력이 약화된다.
통증은 둔통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부 관절에 유착이나 경직이 일어난다.
<윤활막염 치료>
휴식과 냉찜질로 염증을 완화시킨다.
탄력붕대를 사용하여 관절 주위를 감아준다. (삼출액의 재흡수를 도울 수 있다.)
통증과 부종 완화를 위해서 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다.
운동치료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동관절운동 능동 보조 관절운동 능동 관절운동으로 점진적으로 진행한다.
염증이 소실되고 통증이 사라지면 활동적인 운동으로 유착된 조직을 깨뜨린다.
'질병의 원인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원인 및 증상 치료/팔꿈치 통증 염증치료 (0) | 2021.07.22 |
---|
댓글